멍이와 냥이 (Dog & Cat)

치명적 귀여움 미뉴에트(Minuet) 고양이

밤송천송 2023. 11. 3. 11:18
728x90
반응형
SMALL

미뉴에트 고양이
멍이와 냥이

 

안녕하세요. 밤송천송입니다.

오늘 멍이와 냥이에서는 짧은 다리의 신사 미뉴에트 고양이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이 고양이는 먼치킨과 페르시안의 장점만을 골라 섞은 종으로 

치명적인 귀여움이 있으니 보시기 전 마음의 준비를 하시길 추천드립니다.

그럼 바로 시작합니다.

 

미뉴에트 고양이
미뉴에트 고양이

 

개요

페르시안과 먼치킨을 교잡해서 만든 하이브리드 믹스 품종.
초기에 불리던 이름은 나폴레옹으로 TICA에 2012년 정식 품종으로 등록되었으며 2015년 TICA 내부 자체 투표를 통해 이름이 변경되어 현재는 미뉴에트로 불린다.

여기에는 미뉴에트와 미뉴에트, 미뉴에트와 먼치킨, 미뉴에트와 페르시안 품종(페르시안, 히말라얀, 이그저틱 쇼트헤어 포함)의 조합이 포함된다. 미뉴에트는 장모와 단모 품종이 모두 존재한다.

 

기원

이 믹스는 Basset Hound 육종가이자 American Kennel Club(AKC) 심사위원인 Joseph B. Smith가 만들었다. 

그는 1995년 6월 12일 The Wall의 Munchkin이 등장하는 Street Journal의 첫 페이지에서 영감을 받았다. 

그는 먼치킨의 팬이었지만 불가피하게 다리가 긴 버전이 동물 보호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유사한 잡종 고양이와 구별할 수 없다고 느꼈다.

Smith는 다리가 짧거나 다리가 긴 버전 모두에서 고유한 순종 모양의 고양이를 만들기 위해 수행해야 할 작업을 결정했다. 그는 아름다움과 튼튼함이라는 두 가지 이유로 이계 교배 먼치킨을 위해 페르시아 품종 그룹을 선택했다.

오리지널 나폴레옹 스탠더드는 이를 염두에 두고 만들어졌다.

2015년 1월 TICA 이사회는 믹스 이름을 Minuet로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미뉴에트 장모
미뉴에트 장모

특징

장단모가 모두 허용된다. 먼치킨처럼 짧은 다리, 일반적인 긴 다리가 모두 태어나지만 짧은 다리만을 인정하며 페르시안의 피가 섞여있지만 익스트림은 아니고 클래식과 같은 얼굴이다. 동그란 눈에 동그란 얼굴, 작은 귀에 짧은 목, 굵고 짧고 튼튼한 체형이라 전체적으로 둥글둥글하게 생겼다.

무게는 성묘기준 평균적으로 3킬로 초중반대이다.
특이하게도 시작은 고양이 브리더가 아닌 미국의 바셋 하운드 브리더였던 조셉 스미스에 의해 만들어졌다. 기존의 먼치킨은 롱레그, 도메스틱 숏/롱헤어와의 교배만을 인정했는데 그러다 보니 롱레그의 경우 평범한 도메스틱과 크게 다른 특징이 없었고 상대적으로 인기가 떨어졌다. 자연스럽게 돈이 되지 않았고 백도어브리더들은 롱레그들을 유기하거나 죽이는 등 학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평소 먼치킨에도 관심이 있었던 조셉은 강아지처럼 태어나는 먼치킨의 다리가 모두 짧으면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 여기고 품종 개량에 들어갔다.
짧은 다리만 태어나게 하는 것은 실패했지만 기존의 세미포린 체형 먼치킨과는 다른 매력의 세미코비 체형 숏다리 품종이 탄생했다.

 

미뉴에트 사육은 동물 복지 문제로 인해 2014년부터 네덜란드에서는 불법이다. 미뉴에트의 왜소증과 같은 유전적 건강 문제가 있는 부모 동물과의 교배도 금지되었다. TICA를 제외하고 다른 주요 고양이 등록 기관은 동물 복지 문제로 인해 미뉴에트 품종 등록을 허용하지 않는다.

 

미뉴에트
먼치킨 나폴레옹 미뉴에트

유전병

페르시안과 먼치킨의 유전병이 모두 나타난다. 

어느 품종이나 그렇지만 부모묘의 건강상태 및 병력을 알아보고 건강한 고양이를 데려오는 것이 좋다.

 

질병 분류

척추전만증
다낭포성신질환 (Polycystic Kidney Disease/ 줄여서 PKD)
비대성 심근증 (Hypertrophic Cardiomyopathy / 줄여서 HCM)
체디아크 히가시 증후군 (Chediak-Higashi Syndrome)

 

마치며

오늘은 치명적인 귀여움 미뉴에트 고양이에 대해 소개해드렸는데요,

이처럼 다른 두 종간의 교배에 의해 태어난 미뉴에트는 엄청 사랑스럽긴 하나

동시에 유전병이 많이 나타날 수 있어 조심스러운 종입니다.

도덕적으로는 허용이 되지 않으나 고양이의 여러 모습을 보고 싶은 집사들의 마음이 이런 상황들을 만들지 않았나 싶어요.

앞으로 더욱더 많은 아이들을 소개해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상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