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밤송천송입니다.
오늘의 소식은 2024년 갑진년을 맞이하여 청룡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 합니다.
지금 바로 시작합니다.
개요
2024년 갑진년 '푸른 용의 해’ 육십간지의 41번째로 푸른색의 '갑’과 용을 의미하는 ‘진’이 만나 ‘청룡(靑龍)’을 의미한다.
청룡(靑龍)은 한자 문화권의 상상의 동물로, 파란색 또는 초록색을 띤 용을 의미한다. 즉, 청색룡 또는 녹색룡. 사신 중 하나라서 그런지 다른 색의 용들에 비해 유명하다. 같은 푸른 창(蒼) 자를 써서 '창룡(蒼龍)'이라 부르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수원화성의 동문인 '창룡문'의 이름을 여기서 따왔다. 전설에서는 용이 도를 깨우치면 비늘의 색이 파란색이나 초록색으로 변해 청룡이 된다고 한다. 사신들 중에서 가장 존엄하고 고귀한 존재이고 심해 용궁에 산다고 전해지며 하급 용들의 수장이라고 한다. 그리고 풍수지리에서 동쪽에 흐르는 물을 놓으면 청룡의 힘을 끌어내 길조가 된다고 전해진다.

의미
사신의 하나로 동쪽을 수호하며 오행 중 나무(木)와 봄을 관장하며 청색을 상징한다. 비와 구름, 바람과 천둥번개를 비롯한 날씨와 기후, 식물도 다스린다고 한다. 거기에 모든 생명의 탄생을 다스리는 역할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용(龍)은 또한 물을 다스린다고도 한다. 그래서 바다를 다스리는 신을 용왕(龍王)이라고 칭하고 바닷가 어민들의 전통신앙으로 용왕제를 지내고 풍어제를 지내곤 한다. 오행설로 보면 물에서 나와서(水生木) 사신도에서 동쪽 방위에 있으므로 청룡, 또는 창룡으로 표현되는데 오행에서 동(東)은 목(木)이고 푸른색이기에 청(靑/青)과 창(蒼)을 같이 쓰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런데 서브컬처에서는 주인공 역할 혹은 사신 중에서는 강력한 리더 역할이라 그런지는 몰라도 특별히 두드러진 분야가 없는 밸런스 타입으로 취급받거나, 색깔 때문인지 종종 주작과 대립되며 어째서인지 원전에서는 현무에 대응되는 속성인 물과 얼음을 다스리는 역할로 나오기도 한다.
그리고, 청룡의 이미지 컬러는 파란색(청색), 진청색, 군청색, 하늘색, 청록색, 초록색으로 표현된다.
청룡의 속성은 작품마다 달라지는데 어떤 작품에서는 전기(뇌전), 물과 얼음(빙수), 식물로 나타나기도 하고, 어떤 작품에서는 바람(폭풍)으로 묘사되기도 하는데, 그 외에는 대개 뇌전 속성이 많은 편이다. 일단 상기한 대로 모두 다 청룡의 담당 속성이 맞다. 대체적으로 작품에 나오는 주작과 현무의 속성은 각각 불과 빙수로 일관적인데 비해 백호와 청룡은 작품에 따라 속성이 많이 바뀌는 편. 그리고 대부분 손가락이 4개에서 5개로 묘사되는데, 그림마다 다르지만 중국에서는 7개로 묘사되기도 한다. 3개인 경우도 있다고.
푸른색을 뜻하는 천간 갑에 십이지 중 용이 더해진 갑진년을 청룡의 해라고 부른다. 1424년, 1484년, 1544년, 1604년, 1664년, 1724년, 1784년, 1844년, 1904년, 1964년, 2024년, 2084년이 청룡의 해에 해당된다.

여담
# 백제 무왕이 죽은 후 백마강의 청룡이 되었다는 전설이 내려오고 있다.
# 북한 경원군의 적지 연못에는 한 백발노인이 태조 이성계의 꿈에 나타나 청룡을 도와 적룡을 물리쳐야 왕이 될 수 있다고 하여 이성계가 적룡을 퇴치하고 조선의 왕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 내려온다고 한다.
# 한때 청나라에서 조선은 중국의 동쪽에 있으므로 청룡기를 국기로 쓰라고 했지만 여기에 담긴 진짜 뜻은 "우리는 황제국이라서 발톱 5개 달린 황룡기를 쓰는데 너님들은 우리 속국이니 발톱 4개 달린 청룡기 정도로 쓰면 어떻겠냐?" 하는 수준의 심각한 조롱이었기 때문에 조선 조정은 엿을 날리고 태극기를 제작했다.
# 중국에서는 오방색에서 중앙을 상징하는 황룡보다는 동쪽을 상징하는 청룡이 급이 낮은 용이고 동쪽을 지키는 영물이라 그런지 황태자의 상징으로도 알려져 있다. 황태자를 동궁이라고 불리는 것도 있고.
# LG 트윈스의 전신인 MBC 청룡의 상징이었다. MBC 청룡은 1982년에서 1989년까지 운영된 이후 럭키금성그룹에 인수되었다.
# 조선일보 계열 언론사가 주관하는 문화·체육행사의 상징물로 청룡이 쓰이고 있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고교야구 대회이자 조선일보가 주최하는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도 청룡을 상징으로 한다. 또 스포츠조선이 주관하는 대한민국 최고 권위의 영화 시상식 청룡영화상의 상징 역시 청룡이다. 2022년부터 시행한 청룡시리즈어워즈 역시 청룡을 상징으로 하는데 각 트로피의 여신이 들고 있는 원판에 청룡 문양이 그려져 있다.

대중문화 속 청룡
거북, 새, 호랑이라는 실존하는 동물에서 따온 나머지 세 사신과 달리, 아무래도 용이라는 강렬한 이미지가 있는 만큼 대중매체에서의 대우는 사신 중에서도 가장 좋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위에서 말했던 것처럼 대중매체에서 등장할 때는 목 속성 대신 어째 물 속성을 맡는 경우가 잦으며, 현무는 난데없는 땅 속성으로 치환되는 경우가 부지기수. 다만 원전 신화에서도 청룡이 물을 다스린다는 이야기가 없는 것도 아니라, 당대에서도 많이 헷갈린 것 아닌가 싶을 정도.
사신 중에서 가장 신통력이 강하다는 설정이 자주 쓰이는데 원전에서는 사실무근이다. 능력적으로 볼 때 사신 중에서 가장 강한 건 현무다. 여신전생 시리즈에서의 설명문이 어느새 정설처럼 퍼진 것으로 추정된다.
물과 얼음, 바람, 전기, 식물 등 능력이 다양한 것으로 묘사되다 보니, 사신 중에서도 가장 유틸성이 좋은 밸런스형이라는 이미지도 따라붙는 편.
여기까지 청룡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생긴 것도 그렇고 의미도 그렇고
여러모로 멋있는 띠인 것 같아요.
2024년 한 해 좋은 시작하시길 바랄게요.
감사합니다.
'핫이슈 (HOT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을 지웠다, 아성 다이소의 대담한 독자 행보 (80) | 2024.01.07 |
---|---|
괌에서 발생한 총격 사건, 한국인 관광객의 안타까운 사망 (106) | 2024.01.05 |
2024년 새해 일본 규모 7.6 지진으로 쓰나미 경보 발동 (101) | 2024.01.02 |
포토샵 AI 아니에요, 6년 기다려 찍은 예술 사진 Feat. NASA (142) | 2023.12.29 |
진짜 산타를 만나는 곳: 핀란드 로바니에미 산타마을 (100) | 2023.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