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이슈 (HOT ISSUE)

의대 입학 정원 확대 논의, 의학 교육의 질은 어떻게 될까?

밤송천송 2023. 11. 12. 14:18
728x90
반응형
SMALL

송이네 핫이슈
송이네 핫이슈

 

 

안녕하세요, 밤송천송입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살펴볼 핫이슈 주제는 '의대 입학정원 확대'입니다.

최근 정부에서 이러한 논의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의학교육'의 질을 우선시하는 의학교육계에서는

이에 대한 여러 다른 의견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함께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의대생
의대정원확대

 

2023.11.12

오늘의 핫이슈 요약

 

# 정부의 의대 입학정원 확대 논의가 속도를 내고 있지만, 의학교육계에서는 '교육의 질'을 담보하는 수준에서 적정 규모를 산출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 보건복지부는 40개 의대를 대상으로 증원 수요조사를 토대로 현장 조사를 계획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교원과 인프라 등 현실적인 여건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 의과대학은 실제로 학생 교육을 맡기 때문에, 그들의 목소리가 논의에 더 반영되어야 한다는 의견입니다.
# 의대 교육은 '소규모 그룹 토의' 방식으로 변화하는 추세에 있어, 더 많은 교원과 공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 기초 교육을 담당할 교원 확보와, 학생 수 증가에 따른 재원 확보 등도 문제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의료
의료서비스의 질은 어떻게.

 

오늘의 핫이슈

 

보건복지부는 현재 전국 40개 의대를 대상으로 한 증원 수요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는 '의대 입학정원 확대'를 위한 첫걸음으로, 이를 토대로 곧 현장 조사에 들어갈 계획입니다. 이 과정에서는 교원과 인프라 등의 현실적인 여건을 면밀히 살펴보아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익히 알려진 바와 같이, '의학교육'은 실제로 학생 교육을 맡는 의과대학의 목소리가 논의에 더 크게 반영되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이를 통해 '의대 입학정원 확대' 논의가 교육의 질을 해치지 않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더불어, 현재 '의학교육'은 '소규모 그룹 토의' 방식으로 변화하는 추세에 있습니다. 이 변화는 교육 방식의 전환으로, 더 많은 교원과 공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강의실에 의자를 추가하는 것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닙니다. 이는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필요한 접근법으로, 이를 위해선 적절한 투자와 준비가 필요하다는 의미입니다.

기초 교육을 담당할 교원의 확보 문제와 '의대 입학정원 확대'에 따른 재원 확보도 중요한 이슈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며, 입학정원 확대에 따른 등록금 수입만을 고려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이처럼, '의학교육'의 질 저하는 불가피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현장에서 제기하는 우려와 현실적인 여건을 모두 고려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 모든 것들을 종합해 보면, '의대 입학정원 확대' 논의는 단순히 학생 수를 늘리는 문제가 아니라, '의학교육'의 질을 유지하면서 어떻게 이를 실현할 것인지에 대한 복잡한 고민이 필요함을 보여줍니다. 

이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의과대학교
의대생 증원

 

마치며

 

어찌 보면 좋아 보이고 어찌 보면 양이 늘어난 만큼 질이 떨어지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드는 문제인데요,

조심스럽게 논의하고 추진해야 할 문제라 생각합니다.

이러한 논의는 분명 또 누군가는 마지막에 이득을 보는 문제이겠지요,

어떤 것이 옳다 그르다 할 것이 아닌 모두가 좋아지는 방향으로 잘 잡고 추진하길 바랄 뿐입니다.

이상 오늘의 핫이슈 의대정원확대논의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